다시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
A(필자) : 앤티(1천)
B : 콜
B : 콜
C : 콜
D : 콜
E : 콜
F :3천으로
──────────────────────────────────────────
──────────────────────────────────────────
이 상황에서 F의 레이스는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B와 C, D와 E는 카드가 나쁠 것이라고 생각해야 한다(물론 뒤에서 3천 정도가 나올 것을 예상해 좋은 카드를 가지고 1천 콜만 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이 같은 상황에서 필자의 입장이라면 당연히 레이스를 날려야 한다.
──────────────────────────────────────────
A(필자) : 만으로
B : 아웃
B : 아웃
C : 아웃
D : 콜(탑 츄라이)
E : 아웃
F : 콜(투 캇이지만 위치가 좋아서 콜을 한 것이다. 그리고 원래 투 캇이면 1만을 콜해야 한다. 이것은 좀 더 후에 상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
──────────────────────────────────────────
<아침>
──────────────────────────────────────────
──────────────────────────────────────────
A(필자) : 스테이(패턴 스테이)
D : 탑 캇트
D : 탑 캇트
F : 투 캇트
──────────────────────────────────────────
──────────────────────────────────────────
<배팅 타임>
──────────────────────────────────────────
A(필자): 3만
D : 콜
D : 콜
F : 콜(탑 츄라이가 되었다)
──────────────────────────────────────────
──────────────────────────────────────────
이제 다시 캇트 타임이 되었다. 그리고 다음 배팅은 "7만으로" 슬슬 팟이 올라가게 될 것이다.
<점심>
──────────────────────────────────────────
A(필자):스테이(?)
D : 탑 캇트
D : 탑 캇트
F : 탑 캇트
──────────────────────────────────────────
──────────────────────────────────────────
게임에서 위와 같은 상황이 연출되면 곧 배팅 타임으로 이어진다.
──────────────────────────────────────────
A(필자) : 7만
D : 아웃
D : 아웃
F : 콜
──────────────────────────────────────────
──────────────────────────────────────────
F는 노메이드지만 사실, 얼마든지 콜을 할 수 있다. 왜냐하면, A가 패턴 스테이이기 때문에 F의 입장에서는 메이드만 만들 수 있다면 거의 이긴다고 봐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7만이 좀 부담스럽기는 하지만, 어차피 승부라는 것은 겨뤄보라고 있는것이다.
<저녁>
──────────────────────────────────────────
A(필자) : 스테이(?)
F : 탑(큰 소리로 말하고 카드 한 장을 시원하게 뽑아 던진다)
──────────────────────────────────────────
F : 탑(큰 소리로 말하고 카드 한 장을 시원하게 뽑아 던진다)
──────────────────────────────────────────
이제 마지막 순간이 되었다. 그래서 필자는 F가 카드를 조이고 있을 때 조용히 14만을 갖다 댔다. 여기서 우물쭈물한다면 뺑끼 레이스가 날아올 수도 있기 때문에 아예 미리 갖다댄 것이다. 물론 이런 모습은 바둑이에 있어아주 흔하다.
게임이 종료되었다. 여기서 F는....
"에이, 떡이네"라고 하며 카드를 집어던질 수 있다. 아무런 미련도 없을 것이기 때문에....
보통 패턴 집하고의 싸움이란, 원래 이런 결과를 만든다. 왜냐하면, 패턴 집은 계속 질러 대는 것이고, 노메이드 집은 콜하고 캇을 하면서 따라가기 때문이다. 그리고 메이드만 될 수 있다면 큰돈을 먹을 수도 있기 때문에의욕적으로 따라 가는 것이 보통이다.
위의 상황에서 필자는 노메이드였다. 흔히들 패턴 스테이는 뺑끼가 없다고 하지만, 사실은 대부분 그렇지 않다. 패턴 스테이 뺑끼도 충분히 활용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방금 전 상황에서 필자는 15만 5천원이나 먹을 수 있었다. 이는 1, 3만에서는 꽤 큰돈에 속한다. 한 살이 30만인데 15만을 먹었으니 승리를 하지 않고 넘길 수 있겠는가?
당초 필자는 무심히 1천 앤티를 댔는데 F가 3천을해서 은근슬쩍 1만으로 올려본 것이다. 그러나 만일, 이때 모두가 콜을 했다면 탑 캇트를 할 생각이었는데, 몇 사람이 죽는 바람에 뺑끼 리듬이 생겼다. 따라서 내친김에 스테이를 하고 패턴 메이드를 주장했던 것이다. 이는 아무도 의심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왜냐하면, 패턴 스테이는 거의 모두 메이드가 되기 때문이다.
사실, 필자의 입장에서는 패턴 뺑끼라도 쳐서 푼돈 몇 만원이라도 챙기고 싶었다. 게임 당시 연속해 지고 있었기 때문에 반격의 순간을 만들고 싶었던 것이다. 게다가 패턴 뺑끼라고 해도 성공만 한다면 몇 푼 먹을 수 있으니 흐름이 바뀔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었다. 그런데 3만 콜이 두 명이나 되었고, 7만 콜도 받아먹어 큰돈이 되었던 것이다. 이로서 흐름이 바뀐 것은 물론이다.
이제 정리를 해보자.
이 게임의 앞에서 예를 든 3가지의 상황에서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을까? 이것은 바둑이게임에서도 가장 중요하므로 잘 배워둬야 할 부분이다. 첫째, 나쁜 카드끼리 만났을 때는 먼저 배팅 하는 집이 이긴다?
이를 다시 표현해 보면, 배팅이라는 것은 어디까지나 적의 카드가 나쁘다는 전제를 두고 성립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카드는 좋기 보다 대개 나쁘기 마련이어서 일단 배팅을 하면 성공 확률이 실패 확률보다 높다.
이를 다시 표현해 보면, 배팅이라는 것은 어디까지나 적의 카드가 나쁘다는 전제를 두고 성립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카드는 좋기 보다 대개 나쁘기 마련이어서 일단 배팅을 하면 성공 확률이 실패 확률보다 높다.
즉, 배팅이란 리듬이 있고 위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칙을 크게 위배하지만 않는다면 일단 배팅은 좋을 것이라고 보면 된다. 물론 배팅(레이스)을 했는데, 마침 상대방이 좋은 카드를 잡은 경우라면 곧장 반격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때는 재빨리 물러서야 한다. 레이스란, 적을 무조건 밀어내기 위해 존재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원래 바둑이 게임에서의 밀어내기란, 나쁜 버릇이다. 밀어내기 자체가 무리하 수법이고, 또 많은 위험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상대방 카드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밀어내기를 한다는 것은 배팅이 무서워 적이 물러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같다. 즉, 이는 곧 올인(빈털터리)의 지름길이다.
배팅(레이스)이란, 반드시 기본 전제가 있기 마련이다. 즉, 적이 나쁜 카드를 가졌을 경우인데, 이때 내가 가진 카드가 무엇이건 상관없이 먼저 배팅 하는 사람이 이기게 된다. 이제 우리는 게임에 있어서 진정한 배팅의 뜻을 알고 임해야 한다. 똑같은 돈 1만원을 해도 뜻을 알고 치는 것과 모르고 치는 것은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의 예를 살펴보자.
──────────────────────────────────────────
A : 1만
B : 콜
B : 콜
C : 1만에 3만 더
──────────────────────────────────────────
위와 같은 상황에서 C가 "3만 더"를 쳤는데 이것은 무슨 뜻일까?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단순하게 생각하라. 이는 C가 메이드 되었다는 뜻도 아니고 계속 뺑끼를 치겠다는 뜻도 아니다. 단지 A나 B가 나쁜 카드이면 어서물러가란 뜻이다. 물론 A와 B가 좋은 카드를 가지고도 물러선다면 다행이지만 만약, 끝까지 물러서지 않고 대든다고 해도 난감해 할 필요는 없다.
당초 C가 레이스 한 것은 A와 B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였기 때문이다. 즉, A와 B가 나쁜 카드를 가졌는지 아니면 좋은 카드를 가졌는지를 알기 위함이었다. 다시 말해, C의 "3만 더"는 이제부터 계속 배팅을 하겠다는 뜻도 아니고, 메이드가 되었다는 뜻도 아닌 것이다. 단지 약한 자를 가려내기 위함이다.
다시 게임으로 돌아가서,
──────────────────────────────────────────
A : 3만에 6만 더
B : 아웃
B : 아웃
──────────────────────────────────────────
위의 상황을 보면 A가 반발의 형태로 나왔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B는 이미 아웃을 했으므로 C의 대응만이 남아있다. 즉, 이 게임에서 C는 애당초 메이드가 되지 않은 상태였다. 물론 뺑끼라면 뺑끼이겠지만, 그저 별다른 뜻이 없이 레이스를 질러 본 것이다. 그런데, 이 상황에서 느닷없이 A가 반격자세로 나온 것이다. 그렇다고 이 순간, C가 마음속으로라도 '이크 걸렸구나'라고 생각하고 주저한다면 이는 큰 잘못이 된다.
왜냐하면, C는 처음 부터 뺑끼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냥 질러 본 것일 뿐이고, 이는 어디까지나 A와 B가 나쁜 카드인지 아닌지를알아보기 위함이었다. 그런데 결과, B는 죽어버렸다. 즉, B가 가지고 있던 카드는 나쁜 카드였다는 뜻이 된다. 하지만 A는 반발을 했으므로 결국 자신이 가진 카드는 나쁜 카드가 아니라고 선언한 셈이 된다.
따라서 이에 대해 C는 결코 놀랄 필요가 없다. 그저 A가 좋은 카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다시 말해 A의 행동(레이스)에 대해 과잉해석 할 필요가 전혀 없다는 것이다. 단지, A는 스스로가 좋은 카드라는 것을 선언했을 뿐이다. 처음 C는 A와 B의 카드에 대해서(레이스) 물었고, 이 물음에 대해 A와 B는 그저 대답한 것에 불과하다. 즉, B는 자신의 카드가 나쁜 카드라는 것을 선언하고 죽어 버린 것이며, A는 자신의 카드가 좋은 카드라고 선언하면서 레이스를 날린 것이다.
그렇다면 다음은 C의 대응이 문제인데, 사실 이때 C는 그냥 죽어 벼려도 상관없다. 아까울 것이 없기 때문이다. "3만 더"쯤은 그저 탐색 비용이라고 생각하면 그만이다. 그리고 이제 탐색이 끝났으니 죽거나 대응하면 그만이다.
이제 C가 선택할 수 있는 길은 세가지이다. 첫째는 그냥 죽는 것이고, 둘째는 콜을 하는 것, 셋째는 레이스를날리는 것이다. 물론 가지고 있는 카드가 아주 나쁘다면 그저 죽으면 된다. 그리고 츄라이가 좋다면 콜을 하고캇트를 시도해야 한다. 또 만일, 메이드가 된 상태라면 받아치는 레이스를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지금 상황에서는 A가 메이드 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콜을 하려면 츄라이를 따져 봐야 한다.
즉, 무조건 콜을 할 것은 아니라는 소리다. 다만 C가 콜을 하면 A는 스테이할 것이 틀림없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C의 레이스에 대해 받아치는 레이스를 날렸기 때문이다. 따라서 C는 노메이드(캇트)로 메이드에 대해 대항하거나 죽어야 한다. 즉, 정리해 말하면 '죽느냐 콜을 하는냐' 그것이 문제이다. 대개 이 결정은 게임 하는 사람의 타입에 따라 결정되어 지지만, 멋진 게임을 위해서는 죽는 편이 더 좋다.
왜냐하면, 메이드 집과 단 둘이 싸우는 것은 손해가 많기 때문이다. 이 게임에서는 메이드 될 확률보다 그렇지 않을 경우의 확률이 더 높다. 그리고 메이드가 된 후 이기게 된다고 하더라도 배당이 작기 때문에 좋은 게임이 되지 않는다. 또, 만약 B가 콜을 했다면 C도 같이 콜을 하고 따라 갈 수 있다. 물론 C가 한번 더 레이스를 날린다고 해도 상관은 없지만 이는 탐색이 아니라 본격적인 뺑끼가 되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
즉, 이러한 뺑끼는 메이드 집에다 하는 뺑끼로써 가장 위험한 뺑끼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가급적이면 이러한 뺑끼는 피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위의 상황에서는 죽는 것이 더 좋다는 결과를 낳는다. 그리고 투자한 4만(1만에 3만 더)에 대해서는 절대 아까워하면 안 된다. 이러한 돈은 좋은 게임 하는데 들어가
는 경비쯤으로 생각해야 한다.
는 경비쯤으로 생각해야 한다.
자, 다른 예를 한번 살펴보자. 아침 캇트 후의 상황이다.
──────────────────────────────────────────
A : 1만
B : 콜
B : 콜
C : 1만에 3만 더
──────────────────────────────────────────
앞의 상황과 동일하다. 하지만 곧 다른 상황으로 갈라진다.
──────────────────────────────────────────
A : 콜
B : 콜
B : 콜
──────────────────────────────────────────
자, 이와 같은 상황이 되었을 때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물론 A와 B는 나쁜 카드가 아닐 것이다. 메이드가 된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탑캇트도 아닐 것이라고는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의 이어지는 상황을 보자.
──────────────────────────────────────────
A : 탑 캇트(당연하다. 투 캇이었으면 3만 더를 콜하지 않았을 것이다)
B : 탑 캇트(위와 마찬가지)
B : 탑 캇트(위와 마찬가지)
──────────────────────────────────────────
이와 같은 상황에서 C의 입장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물론 C역시도 노메이드이다. 그렇다. 정답은 스테이이다. 물론 츄라이가 아주 좋다면 3이나 4츄라이 캇트를 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츄라이가 나쁘다면 무조건 스테이해야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츄라이가 좋을 때는 그 자체로서도 승부가 가려질 것이고(서로 안 맞았을 때, 이길 수 있는 카드) 츄라이가 나쁘다면 서로 맞지 않았을 때, 질 수 있는 카드가 되므로 뺑끼로 나가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현재 상황에서는 이미 레이스를 질러 놓은 상태이고 또, A와 B는 콜만 한 상태이기 때문에 스테이를 해야 하는 것이다.
다음 상황을 살펴보자.
<점심 캇트 후 배팅 타임>
──────────────────────────────────────────
A : 책
B : 책
B : 책
C : 7만
──────────────────────────────────────────
이때 C의 배팅은 당연한 것이다. 사실 C의 마음은 A와 B가 빨리 죽어 주기를 바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7만은 큰돈이기 때문에 죽을 가능성도 높다. 다음 상황에서 A는 카드를 던진다. 물론 이렇게 되면 B도 자동 아웃이다. 스테이 집에 대해 저 혼자 싸우기가 싫었던 것이다. 또한 배당도 적기 때문에 아웃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제 모든 상황은 끝이 났다. 이번 판에서 주목했어야 할 내용은 A가 처음에는 1만을 달고 나왔다가 "3만 더"에 콜만 하고 캇트 후에는 책을 내렸다는 점이다. 즉, 처음에는 선제 공격을 하다가 나중에 책을 내렸다는 것은 곧 기세가 꺾였음을 뜻한다. 그러니 7만에 죽는 것은 당연하다.
다시 다음의 상황을 보자. 점심 캇트 후의 상황이다.
──────────────────────────────────────────
A : 책
B : 책
B : 책
C : 7만
──────────────────────────────────────────
이는 바로 앞의 예와 같은 경우이다. 하지만 여기서 A가 콜을 한 상황이다.
──────────────────────────────────────────
A : 콜(7만)
B : 콜(A가 콜을 하니까 덩달아 콜을 한 것이다. 그리고 츄라이가 좋고 동반자가 있으니 흔히 콜을 하는 상황이기도 하다. 또한 배당도 크다)
B : 콜(A가 콜을 하니까 덩달아 콜을 한 것이다. 그리고 츄라이가 좋고 동반자가 있으니 흔히 콜을 하는 상황이기도 하다. 또한 배당도 크다)
──────────────────────────────────────────
여기서 다음의 캇트가 이어진다.
<저녁>
──────────────────────────────────────────
A : 스테이
B : 캇
B : 캇
C : .....
──────────────────────────────────────────
여러분이 만약 C의 경우라면 이때 어떻게 하겠는가?
초지일관으로 뺑끼 상태를 유지하겠는가? 아니다. 절대 그렇게 하면 안 된다. C의 입장에서는 솔직하게 캇트를해야 한다. 왜냐하면, A가 스테이를 하는 순간, 상황이 아주 나빠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때 A는 이미 메이드가 되었을 것이라고 봐야 한다. 즉, 우려하던 상황이 드디어 발생한 것이다. 그러니 C의 입장에서는 캇트로 따라가야 하기 때문).
여기서, 한 가지 반드시 알아둬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C의 마음가짐이다. 만약 위와 같은 상황이 연출되었을 때 C가 '에에, 김샜네. 씨발' 이런 마음을 갖는다면 어떻게 될까? 그렇다, 이런 마음은 틀린 마음이다. 그러니 애초부터 갖지 않는 것이 좋다.
애당초 "1만에 3만 더"는 뺑끼를 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었다. 그저 상대방의 카드를 물어본 것이다. 그런데 상대는 콜이라는 상황으로 나왔던 것이다. 물론 이는 어중간한 태도다. 대개 레이스가 날아오면 상대(A와 B)가 강하다는 선언인데, 콜만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C는 7만을 배팅하면서 다시 한번 물었던 것이다.
물론 7만이 제법 커서 약간의 위협은 되었겠지만 7만 배팅의 진짜 목적은 상대의 카드를 점검하기 위함인 것이다. 그리고 그결과, 상대는 스테이(메이드)로 대답했을 뿐이다. 이제 C의 배팅은 그 임무를 다했다고 볼수 있다.(상대방의 대답을 들었으니까).
이제 지금부터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다. 상대방이 스테이로 나왔으니 대책을 세워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C가 나가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서 반드시 알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C가 스테이를 하면, 저녁 캇트 후에는 곧 배팅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배팅은 14만으로 큰돈이 된다. 따라서 이 배팅 14만원은 적의 카드 상태를 묻는 것이 아니라 본격적인 뺑끼가 되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 즉, 나쁜 카드 VS 나쁜 카드의 싸움이 아니라 나쁜 카드 VS 좋은 카드의 싸움인 것이다. 왜냐하면, 나(C)는 노메이드이고 상대는 메이드(거의 확실하다)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지금까지 나쁜 카드 VS 나쁜 카드인 경우를 살펴봤다. 앞에 전개되었던 게임 상황은 C의 7만 배팅에 대해 A가 콜을 하고 스테이한 것이다. 이제 게임의 흐름은 저녁 캇트만 남겨 놓았다. 따라서 C의 스테이 여부만이 남아 있는 것이다. 앞에서의 답은 캇트였지만(솔직한 승부로써 위험 부담이 적다) 스테이로 승부하고 싶다는 것이다. 이럴 때는 물론 뺑끼이다.
하지만, 여기서의 뺑끼는 의미가 다르다. 이는 순전히 말 그대로의 뺑끼일 뿐 나쁜 카드 VS 나쁜 카드의 싸움이 아닌 것이다. 따라서 그만큼 실패할 확률도 높다. 즉, 이러한 뺑끼는 나쁜 카드 VS 좋은 카드의 상황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